센텐스 다이그래밍은 미국에서 1877년 Reed Kellogg의 저서에서 시작된것으로 안다. 문장을 다이그래밍을 하여 영어 문법의 이해를 높이는 학습방법으로, 그이후 5,60년 미국 교육계에 불같이 번지며 퍼졌다. 그런데 1960년 들어와서 큰 반대에 부딪힌다.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에서 다이어그래밍은 끽해야 학생들에게 다이어그램 하는 기술만 가르칠 뿐 별 도움이 안된다 (Diagramming sentences ... teaches nothing beyond the ability to diagram) 대대적 비판을 나선것이다. 그이후 80년대 초에 문법을 들이파고 문제만 푸는 것은 말하기와 쓰기에 오히려 방해가 된다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메이저 학습방법에서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소수자들에 의해서 이방법은 지금까지 전해내려지고, 홈스쿨링처럼 적은 학생들을 인내심있게 가르칠수 있는 세팅, 혹은 고전주의 교육을 신봉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계속 사용되어 지고 있다.
중학생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친 것이 벌써 8년째 되어간다. 처음에는 에세이의 전체 구조에 신경쓰다가, 패러그래프 하나를 제대로 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되었고, 그것이 자리잡아가면, 문장 하나를 특히 thesis statement와 같은 주요 문장을 잘 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어 문장 하나를 제대로 쓰는 법을 가르쳐야 겠다는 생각이 차있었다. 그러던 중에 센텐스 다이아그래밍에 대한 책을 미국친구 (언어교정교사출신의 홈스쿨링 맘)가 알려주었다.
이것을 공부하고 가르치면서 깨달은 것 네가지가 있다. 첫 두번째는 교사로서 알아야할 점이고, 후자 두번째는 내가 학습자로서 경험한 것이다.
첫번째는 이것은 문법공부라기 보다는 '논리적 사고'를 길러주는 과정이라는 점이다. 미국 고전주의 교육의 대가 수잔 바우어 (Story of the World 저자)도 다이어그래밍이 가치는 대단하다고 강조하면서 '논리적'인 문장을 구사하는 도구라고 설명한다. 엉성한 문장은 엉성한 생각에서 나온다. 엉성한 문장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까? 센텐스 다이어그래밍은 마치 안경과 같아서 엉성한 부분을 스스로 보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 이것만으로 문법을 공부하는게 아니라, 문법공부의 보충제supplemental 로 같이 가야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제 가르칠때 12주 과정에서 첫 5-6주는 문장과 품사의 기본 개념부터 가르쳤고, 실제 센텐스 다이어그래밍은 6주차부터 들어가기 시작했다. 센텐스 다이아그램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된다. 문법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점검하는, 도와주는 도구로서 써야한다. 센텐스 다이어그래밍"만" 속성으로 가르쳐준다면 부작용이 있을 것 같다. 센텐스 다이어그래밍은 문법 및 글쓰기 공부안에 통합되어야, 그 기능을 잘 발휘할수 있을 것 같다.
세번째는 읽는 속도이다. 센텐스 다이어그래밍을 하다보면 문장의 골격인 주어와 술어를 끊임없이 골라내야 한다. 이것이 훈련이 되니, 아무리 긴문장도, 주어와 술어가 무엇인지 파악 속도가 빨라진다. Down the stairs came the dog. 이런 주어 술어 도치 문장이 좀 복잡해지면, "뭔 소리지?" 하게 되기가 쉬운데, 이 훈련으로 도움을 많이 받는다.
네번째는 내가 확연히 경험한 것인데, 문장의 뜻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게 된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Late for her doctor's appointment, she was driving dangerously. 이 문장에서 her가 꾸며주는 것은 doctor인가? appointment인가? The king ordered him prisoned에서 him은 order의 목적어인가? 아닌가? 이런 것들이 다이어그램을 해보면 읽는 사람이 이 문장뜻을 바로 알고 있는지 아닌지가 드러난다.
수잔바우어의 말을 인용하면서 마치고자 한다. "센텐스 다이아그래밍을 할때 학생들은 더 명확하게 사고하고, 문장을 스스로 고치고, 자신이 아는 문법의 지식을 글쓰는 것에 활용할수 있게 해줍니다....다이아그래밍을 중학교때 배워둔 학생들은 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비로소 그 도구를 이용할수 있게 됩니다.